- 한화 팜의 문제점
1차 지명자는 팜을 대표하는 지수가 될 것입니다.
스카우터가 잘 못 뽑아서 그럴 수도 있지만 확률적으로는 팜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2000년 이전의 선수들은 현재 팀의 주력으로 활동하는 선수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분석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리그를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한 선수는 2001년 김태균이 유일합니다.
한화가 플레이오프에 활발히 올라갔던 기간도 마침 김태균이 한창 활약하던 2001년 2005년 2006년 2007년입니다.
노란색 표시는 2020년 현재도 팀의 주력 엔트리에 들어있는 선수인데요,
보시면 2016년 이후에는 없습니다.
2020년 성적이 최하위인 이유가 보이는 것 같습니다.
제가 10개 구단 전체를 살펴봤는데요,
그 중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준 히어로즈를 비교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히어로즈는 전신인 현대 유니콘스가 연고지 이전 문제 등으로 무려 6년을 1차 지명을 못했었습니다.
그런데도 저 선수들 보십시오.
리그를 대표할만한 선수들로 꽉 차 있는 것 보이시나요?
특이한 것은 전면 드래프트가 실시되었던 2013년에 대전고에서 뽑아 온 조상우입니다.
하필 한화 팜이네요.
한화는 운도 없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무튼 서울을 연고지로 하는 엘지, 두산, 히어로즈가 3분을 하더라도 저 정도의 선수들을 뽑는 것이
가능한 게 서울 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울 팜이 그 정도로 좋다고도 볼 수 있는 것이죠.
2. 한화이글스의 구단 지원
제 생각에 한화이글스처럼 구단이 프런트 및 감독 코치에 개입 안 하고 오히려 현장에서 요청하는 사항을
잘 들어주는 구단도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장기간 팀 성적이 저조한 이유가 궁금해서 찾아 본 결과 한화 팜이 문제가 아닐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어렸을 적 좋은 떡잎들이 서울로 서울로 향하는 현상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어릴 적 경기도 부천(아버지가 치킨집 하시는 김포가 더 맞긴 하지만 ㅎ) 에서 자랐던
강백호가 서울고로 진학하기 위해 부천중에서 이수중으로 전학왔던 것을 들 수 있어요.
아무튼 한화의 팜인 충청도가 야구 인재들이 부족했다는 점은 인정해야 겠습니다.
한화는 충청도에서 야구 인재들을 키우기 위한 노력을 지금부터 기울여 주시기 바래요.
이상 몬돌이의 스포츠이야기였습니다…^^
[cosmosfarm_simple_popup id=”39520″]